정오신문 관리자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바이오산업 분야 국가 공모사업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며, '바이오 메카'로 도약할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전북자치도는 16일, 올해 1분기 바이오산업 분야 공모사업에서 총 4건이 선정, 총사업비 274.32억 원(국비 163.66억 원 포함)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도의 전략적 대응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도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25년 공모사업 및 ’26년 국가예산 사업을 통해 총사업비 2,000억 원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바이오산업의 체계적 육성과 기업지원을 위한 기반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1분기에 선정된 주요 공모사업은 다음과 같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사업인 ‘전략기술 지역혁신엔진 1단계’ 사업 선정(총사업비 183.32억 원, 국비 91.66억 원)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인 ‘2025년도 K수직농장 세계화프로젝트’ 사업 선정(총사업비 38억 원, 국비 38억 원)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공모사업인 ‘2025년도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지원사업’ 선정(총사업비 33억 원, 국비 21억 원) ▲부처합동(법무부, 행안부, 농림부, 중기부) 추진 공모사업인 ‘2025년도 시군구 연고산업 육성 협업프로젝트’ 사업 선정(총사업비 20.22억 원, 국비 13억 원)을 포함한다.
첫 번째로, ‘전략기술 지역혁신엔진 1단계’ 사업은 전북연구개발특구 내에서 첨단바이오 기술 사업화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원천기술을 활용한 기술사업화 지원, 통합 비임상 시험 지원, 맞춤형 기업 지원 등이 이뤄질 예정이다.
두 번째로, ‘2025년 K수직농장 세계화프로젝트’ 사업은 농촌 유휴시설(상가, 공장, 폐교 등) 활용한 수직농장 모델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로, 지속 가능한 스마트 농업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특히, 도가 추진하는 ‘첨단 바이오소재 생태환경 기반조성’ 사업과 연계·확대할 계획이다.
세 번째로, ‘2025년도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지원사업’은 지역 내 바이오헬스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이들이 보유한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도록 병원과의 연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한, 지역 산업 현황 조사와 네트워크 운영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2025년도 시군구 연고산업 육성 협업프로젝트’ 사업은 미래 유망 바이오소재를 활용하여 그린바이오 산업을 활성화하고, 남원시를 중심으로 관련 기업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이다. 주요 지원 대상은 곤충,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제조·판매 기업이며, 시제품 제작, 시험 분석, 판로 개척 등의 사업화를 지원하게 된다.
전북자치도는 1분기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2분기에도 적극적인 공모 대응을 이어갈 계획이다. 현재 5건(총사업비 940.5억 원, 국비 793.25억 원)의 사업이 선정 심사 중이다. 특히, ‘미래 방사선 강점기술 고도화 사업’(총사업비 및 국비 145억 원), ‘2025년 테크노파크 생산장비 고도화’(총사업비 30억 원, 국비 15억 원) 사업 등은 선정 가능성이 높은 핵심 과제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아울러 이번 성과를 기반으로, 산업부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등 부처별 수시 공모사업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신규사업 발굴에도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신원식 전북자치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이번 공모 선정은 전북 바이오산업이 국가 성장 동력으로 부상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 결과”라며, “선정된 것에 안주하지 않고 각 사업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