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오신문 관리자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스마트팜 현장을 찾아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을 논의했다.
도는 25일 익산시 금마면에 위치한 농업회사법인 ㈜케어팜에서 ‘농어업‧농어촌위원회 제2기 농업소득분과 제3차 회의’를 열고, 2026년 신규 시책과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과제를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기존의 회의실 중심 방식에서 벗어나, 실제 농업 현장을 방문해 정책 효과와 현장의 의견을 직접 살피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3,300㎡ 규모의 스마트팜을 운영 중인 케어팜을 둘러보고, 감초와 도라지 등 약용작물 재배 현황과 이를 활용한 식품·화장품 생산 과정을 살펴봤다.
케어팜은 청년농업인 교육과 실습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고 있어,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융복합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농업인의 경영 안정과 실질적 소득 향상을 위한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농업소득분과는 올해 제2기 출범 이후 못난이 농산물 유통, 자연재해 대비 시설하우스 보강 등 현장 밀착형 과제를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2026년 적용 가능한 신규 시책 발굴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북도가 자체 발굴해 추진 중인 ▲저탄소 농산물 인증 시범사업 ▲초등돌봄교실 과일 간식 지원사업도 우수사례로 공유됐다.
‘저탄소 인증 시범사업’은 친환경 농법을 실천하는 농가에 인증을 부여하고 유통·판매로 연계해 농가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전국 최초로 전북에서 도입됐다.
‘과일 간식 지원사업’은 지역에서 생산된 제철 과일을 초등 돌봄교실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어린이 건강 증진과 지역 농산물 소비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학부모와 교육 현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민선식 전북자치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을 지속 추진해 나가겠다”며 “농가소득 6천만 원 달성과 농생명산업 수도 실현이라는 목표에도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